본문 바로가기

크립토9

암호화폐 트레이딩 & 데이터 분석 필수 사이트 모음 크립토 트레이딩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정보들을 찾아봐야 하며, 그 양이 방대하여 여러 사이트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부터 ETF 흐름, 롱/숏 포지션 분석, 에어드랍 정보 등 다양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필수 사이트들을 정리해 보았으니 필요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1. MADE IN USA 알트코인 (Dropstab)👉 미국에서 만들어진 알트코인이나 VC(벤처캐피탈) 투자 정보가 궁금하다면, Dropstab에서는 미국 기반 프로젝트와 대규모 투자 활동이 포착된 알트코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특정 국가의 규제가 걱정되거나, 미국 내에서 주목받는 코인을 찾고 싶다면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2. 최신 에어드랍 정보 (CryptoRank)👉 무료 코인을 받을 수.. 2025. 3. 14.
리플 VS SEC 소송 진행 과정 시계열 정리 2020년12월 22일 -SEC, 리플을 상대로 소송 제기 -SEC는 리플이 미등록 증권인 XRP를 판매해 약 13억 달러를 불법적으로 조달했다고 주장. -리플의 공동 창업자인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와 크리스 라센(Chris Larsen) 개인도 피소됨.  2021년1월 29일 -리플, 소송 기각 요청 제출. -SEC가 명확한 규정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XRP가 증권이 아니라는 논리 전개.3월 3일 -법원, SEC에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대한 내부 문서 공개 요구. -리플은 BTC와 ETH는 증권이 아니라는 SEC의 입장을 강조하며, XRP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5월 21일 -법원, 리플의 기관 투자자 대상 판매 기록 공개 요청 거부 -SEC.. 2025. 3. 13.
가상자산(코인) 선물 거래 시 꼭 알아야 할 점 코인 선물거래(Perpetual Futures) 필수 개념 정리코인 선물거래는 고위험·고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는 MMR(유지마진비율), 펀딩비, 마진 모드(Cross/Isolated) 등 필수 개념들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 유지마진비율(Maintenance Margin, MMR)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증거금유지증거금이 부족하면 강제 청산(Liquidation) 발생✅ 예시A는 100배 레버리지로 1,000 USDT를 롱(Long) 포지션 잡음거래소 요구 유지증거금률(MMR)이 **0.5%**라면?A의 강제 청산 가격은 A가 예치한 증거금(10 USDT)이 0.5% 이하가 되는 가격만약 가격이 급락하여 증거금이 MMR을 밑돌.. 2025. 2. 26.
DEX(Decentralized exchange) 톺아보기 1(히스토리) DEX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익숙한 용어지만, 실제로 DEX에서 거래해보지 않은 사용자들은 그 프로세스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Solana 기반 밈코인이 DEX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은 주목할 만하며, 이는 탈중앙화 거래소의 특성과 자금 흐름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DEX는 탈중앙화, 익명성, 자산 통제라는 장점으로 관심을 받아왔지만, CEX에 비해 거래 속도와 사용자 경험 면에서는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는 이러한 추세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Solana 기반 밈코인이 DEX에서 급부상하면서 거래량과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DEX 생태계의 진화를 촉진하고 있다.​​DEX란 무엇인가? (시계열로 알아보자)-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 2025. 1. 17.
델리시움(Delisium, $AGI): 탈중앙화 AI 생태계를 향해 델리시움(AGI) 기본 정보​토큰명: AGI현재 가격: 약 202원시가총액: 210 BFDV: 600 B유통 공급량: 1.06 B​거래 가능한 주요 거래소Bithumb, Bybit, Gate.io  델리시움(AGI) 개요​델리시움(Delisium, AGI)은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하여 누구나 AI 모델을 생성,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중앙화 프로젝트다. ​기존의 중앙화된 AI 플랫폼들은 대기업들이 데이터를 독점하고, AI 모델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델리시움은 탈중앙화된 생태계를 통해 데이터 제공자, 개발자, 사용자들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기존 대.. 2025. 1. 15.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고성능 탈중앙화 거래소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4년 가장 Hype한 프로젝트가 뭐냐고 물어보며 단연 하이퍼리퀴드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기존의 방식대로 VC들의 투자를 받아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아닌 진정한 블록체인 정신을 반영하는 DEX생태계를 만들고자 하는 의도가 보인다.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는 차세대 탈중앙화 거래소(DEX)로, 기존 DEX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고성능 거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플랫폼이다. 하이퍼리퀴드의 주요 특징, 기술적 기반 등 경쟁력을 중점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1. 하이퍼리퀴드란 무엇인가?하이퍼리퀴드는 블록체인 기술과 고빈도 거래(High-Frequency Trading)를 결합하여 초당 10만 개의 주문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 높은 L1 블록체인으로 완전한 온체인 기.. 2025. 1. 14.
DEX의 AMM(Automated Market Maker) AMM(Automated Market Maker)은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사용되는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로, 전통적인 중앙화 거래소(CEX)의 오더북(order book) 시스템을 대체한다. AMM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유동성 공급자(LP, Liquidity Provider)가 제공한 자산을 이용해 거래를 자동화한다. 이를 통해 거래자들이 중개자 없이도 디지털 자산을 교환할 수 있다.​☞주식시장이나 CEX(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등)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중앙 주체가 있다. 따라서 유저들은 실물 화폐(달러, 원화)로 코인 구매가 가능하다. 하지만 DEX는 중앙 주체가 없기 때문에 유동성을 유저가 직접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다.​AMM의 작동 원리유동성 풀(Liquidity .. 2025. 1. 14.
스타크넷($STRK) 톺아보기 스타크넷(StarkNet): 이더리움의 한계를 뛰어넘는 확장 솔루션​블록체인 기술이 점차 주류로 자리 잡고 있지만,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확장성 문제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의 선두주자로 인정받고 있지만, 거래 처리 속도가 느리고 가스비가 비싸 대중적인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스타크넷(StarkNet)이다.​스타크넷은 이더리움 위에서 작동하는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으로, 더 빠르고 저렴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ZK 롤업(Zero-Knowledge Rollup)이라는 기술을 통해,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속도와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스타크넷 기본 정보​.. 2025.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