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립토커런시

스타크넷($STRK) 톺아보기

by 마곡창투 2025. 1. 14.

 

스타크넷(StarkNet): 이더리움의 한계를 뛰어넘는 확장 솔루션

블록체인 기술이 점차 주류로 자리 잡고 있지만,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확장성 문제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의 선두주자로 인정받고 있지만, 거래 처리 속도가 느리고 가스비가 비싸 대중적인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스타크넷(StarkNet)이다.

스타크넷은 이더리움 위에서 작동하는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으로, 더 빠르고 저렴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ZK 롤업(Zero-Knowledge Rollup)이라는 기술을 통해,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속도와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스타크넷 기본 정보

토큰명: STRK

현재 가격: 약 770.80원

시가총액: 약 1조 3,994억 원

유통 공급량: 약 2.1십억 개

최대 공급량: 10십억 개

거래 가능한 주요 거래소

빗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스타크넷이란 무엇인가?

스타크넷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된 독립적인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의 처리 능력을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더리움이 '레이어 1'이라면, 스타크넷은 '레이어 2'에 해당한다. 쉽게 말해, 스타크넷은 이더리움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보조 시스템으로, 이더리움의 혼잡한 교통을 분산시켜 효율성을 높이는 "우회 도로"라고 할 수 있다.

스타크넷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더리움의 안전성과 탈중앙화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디파이(DeFi), NFT, 블록체인 게임과 같은 고빈도 거래 환경에서 유용하다.


스타크넷의 주요 기술: ZK 롤업

스타크넷의 성공 비결은 ZK 롤업(Zero-Knowledge Rollup)이라는 독창적인 기술이다. 이 기술은 데이터를 묶어 처리하고, 유효성을 암호학적으로 증명해 메인 블록체인(이더리움)에 전송한다.

ZK 롤업의 작동 원리

  1. 데이터 묶기: 여러 거래를 한 묶음으로 합친다.
  2. 요약 증명: 거래 묶음이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암호학적 증명(Proof)을 생성한다.
  3. 이더리움으로 제출: 생성된 증명만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전송하고,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ZK 롤업의 장점

  • 속도 증가: 수백, 수천 건의 거래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 수수료 절감: 가스비가 기존의 수십 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진다.
  • 보안성 유지: 거래의 상세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도 유효성을 증명해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ZK 롤업 덕분에 스타크넷은 확장성과 보안성의 균형을 유지하며,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레이어 2 솔루션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스타크넷의 주요 특징

1. 빠른 거래 처리

이더리움은 초당 약 15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지만, 스타크넷은 이를 수백 건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 이는 대규모 거래가 필요한 디파이와 블록체인 게임에서 특히 유리하다.

2. 낮은 가스비

NFT 거래를 할 때 수십 달러에 달하는 가스비가 문제가 되곤 한다. 하지만 스타크넷에서는 이러한 거래를 몇 센트 수준의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

3. 보안성 유지

스타크넷은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그대로 활용한다. 모든 거래 증명은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탈중앙화와 보안성을 유지한다.

4. 스마트 계약 개발 친화성

스타크넷은 고성능 스마트 계약 개발을 위해 **카이로(Cairo)**라는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다. 카이로는 효율적이고 강력한 언어로, 개발자들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디앱 생태계

스타크넷은 이미 많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지원하고 있다. NFT 거래소, 디파이 플랫폼, 블록체인 게임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스타크넷 기반으로 운영 중이다.


1.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스타크넷(Starknet)이 $STRK 스테이킹 인프라를 메인넷에 배포하며 최소 2만 개의 $STRK 보유자는 검증자로 활동할 수 있고, 락업 해제 기간은 21일로 설정된 가운데, 글로벌 자산 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가 공개 검증자로 합류해 $STRK 위임 및 기관 검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발표

 

3. 성능 개선

Look out, Solana: Starknet to 4X TPS within 3 months

 

스타크웨어는 스타크넷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4배로 높이고, 수수료를 5배 줄이는 기술 업그레이드 계획을 스타크넷은 향후 3개월 내 거래 속도를 4배로 늘리고 수수료를 5배 줄이며 TPS 1,000 이상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CEO 엘리 벤 사손은 카이로(Cairo) 개선을 통해 이를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개발사 스타크웨어는 비트코인 OP_CAT 개선 제안 도입을 추진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이티브 활용이 가능한 최초의 L2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곰재아빠의 BDC

투자에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다룹니다. (제 맘에 드는 것들도 올립니다) -Blog- https://gomjaefather.tistory.com/

t.me